과거 작성한 과제입니다. What Surrealism Emerges What Means Freud Politics Ending Art.
초현실주의 등장
초현실주의는 파리에서 성장한 예술 역사의 한 부분을 자치하는 한 양식이다. 대부분 미술 사조로만 알고 있다. 하지만 초현실주의 활동은 미술뿐만 아니라 영화, 시, 문학 등 넓은 예술 분야에서 이루어졌다.
1917년, '기욤 아폴리네르(캘리그라피의 아버지)'가 에릭 사티(Erik Satie)의 발레 피라드(Parade)와 관련해서 '초현실주의(surrealism)'라는 단어를 가장 먼저 사용했다고 한다. 또한 기욤 아폴리네르는 자신의 연극 '티레시아스의 유방(프랑스어: Les Mamelles de Tirésias)'을 초현실주의(surrealism) 극이라 설명했다.
1920년대 초, 제 1차 세계대전 이 끝난 후 기술 과학에 대한 의존이 높아지며, 인간미가 줄어들었다고 한다. 또한 물질주의가 부상하게 되며 자본가 계급이 사회를 주도하게 된다.
이에 예술가들은 사회가 타락했다고 생각했고, 기존의 체계를 뒤집을 만한 전위적인 변화를 원했다. 그것이 초현실주의가 등장하고 발전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1924년, 앙드레 브르통(André Breton, 시인, 미술이론가)은 '초현실주의 제1선언'을 작성하며 초현실주의에 대한 정의를 내렸다. 그리고 파리에서 초현실주의 모임을 결성하였다.
출처: https://www.imdb.com/name/nm0107866/
초현실주의는 미술과 문학을 포함할 뿐 아니라 존재의 모든 측면에 영향을 미치고 사회적 심리적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 믿었다.
즉, 잠재된 초현실을 통해서 더 나은 세계를 만드는데 보탬이 될 수 있다고 믿었다.
초현실주의 무엇
앙드레 브르통(André Breton, 시인, 미술이론가)은 초현실주의에 대해 이렇게 이야기했다.
“이것은 순수한 심령의 자동주의를 통한 구두 또는 쓰기 아니면 진정한 사고 활동에 의한 표현을 목적으로 한다. 아무런 이성의 통제가 없는 가운데, 그리고 모든 미적 또는 도덕적 선입견에서 벗어나 구술된 사고"
예술가 개인의 내면에 숨겨진 정신으로 발현된 그것을 지칭하고 있다. 주로 개인의 생각과 감정과 의지를 배재하고 결과물을 만들기 위해 노력했다. 특히 초현실주의는 환상과 꿈의 무한한 힘을 믿었다.
앙드레 브르통(André Breton, 시인, 미술이론가)은 누구나가 스스로의 이성에 의해 내면의 잠재의식이 감춰진다고 생각했다.
특히 예술가들은 초현실주의 작품을 위해서 논리와 이성을 겉어내기 위해서 노력했다. 그들은 잠재의식의 초현실을 끌어내기 위해서 편견과 선입견을 걷어낸 자유연상을 이용했다.
자유연상으로 가장 대표되는 것이 바로 꿈이 었다. 잠을 자는 동안에는 자신의 이성이 반영되지 않는 무의식적인 정신활동이라고 믿었다. 그리고 꿈속에서 펼쳐지는 비이성적인 환상을 이용해서 결과물을 만들어냈다.
초현실주의자들의 꿈과 상상에 대한 생각은 프로이트의 견해를 따른다.
초현실주의 와 프로이트
프로이트의 책 '꿈의 해석'에서 꿈을 '일상에서 충족 못한 욕구를 충족하기 위해 나타난다'고 하였다. 그리고 프로이트는 꿈을 분석하면서 무의식(비슷하게는 잠재의식)의 세계를 구체화시켰다.
특히 프로이트는 개인의 잠재의식이야 말로 그 인간의 사고를 지배하는 현상이라 주장했다.
이렇게 초현실주의자들은 이성이 배재된 순수한 잠재의식의 힘을 통해 새로운 무언가를 이뤄낼 수(만들어낼 수) 있다고 믿게된 것이다.
초현실주의자들은 프로이트의 주장을 바탕으로 다양한 방법을 통해서 비이성적이고 비합리적인 결과물을 만들기 위해서 노력했다.
초현실주의는 프로이트가 주장한 내면의 감춰진 욕망과 초현실이 관련이 있다고 생각했다.
이 덕분에 초현실주의는 기괴하고 비합리적 비이성적인 모습을 보이면서 무의식적인 리비도(성적인 욕망 그런 에너지)의 해방을 표현한 것이 많다.
왜곡 인테리어 초현실 아트 시계 (살바도르달리) 가격 시세 정보는 아래 링크를 확인해 주세요.
왜곡 초현실 시계 달리 엔틱 장식 탁상 디자인 인테리어 책상 흐르는 선반 녹는 거실 데코 아트
COUPANG
www.coupang.com
초현실주의 와 정치
초현실주의 모임은 1920년대에서 1930년대 후반 2차 세계 대전이 일어난 직 후까지 계속 이어져왔다.
초현실주의 모임이 오랜시간 유지되면서 예술적인 성격뿐만 아니라 정치 사회까지 관심이 확장되었다.
초현실주의자 모임에서는 지적인 자유와 내면의 잠재의식에 관심을 가졌기 때문에 무의식적인 인간 근본의 본질을 우선시했고, 이에 따라 반대되는 물질적인 것과 과학적인 것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가졌다.
이 덕분에 초현실주의자 모임은 자연스럽게 정치적으로 반 부르주아 성격을 띄웠고, 그들은 집단의식이 강했다고 한다.
(출처 구글맵 , 클로즈리 데 릴라)
1925년 7월 2일 프랑스 파리 몽파르나스 지역에 있는 카페 '클로즈리 데 릴라(La Closerie des Lilas)'에서 출판사가 문학 행사를 추최 했다. 그곳에서 초현실주의자들은 정치적인 집단행동을 보였고, 폭력 사태로 모임원 여럿이 체포되는 일이 발생했다.
이 사건이 초현실주의 모입의 정치 성격을 드러내는 큰 사건이 되었다. 그 성격은 반 부르주아적, 무정부주의적 모습을 했다. 특히 일부 초현실주의 모임의 회원은 마르크스주의를 지지하는 모습을 보였다고 한다.
이러한 초현실주의 모임에서의 정치적 경향은 모임에 긴장감을 만들었다.
앙드레 브르통(André Breton, 시인, 미술이론가)은 초현실주의에 대한 연구와 실험이 정치적 견해와 상관없이 지속된 성과를 이뤄내길 바랐다.
초현실주의 의 결말
나치 독일이 폴란드를 침공한 1939년 9월 1일에 제2차 세계대전이 벌어졌고, 전쟁은 전 유럽으로 확전 되었다.
초현실주의 집단은 자연스럽게 와해되고, 예술가들이 다른 국가로 망명(특히 미국)을 떠나게 되면서 프랑스의 초현실주의 모임은 끝나게 되었다.
그리고 전쟁 중이였던 1942년, 많은 예술가들이 미국 뉴욕에 자리았다. 초현실주의 예술가들도 뉴욕에 자리를 잡았다.
그러나 파리에서와 같은 모임이 이뤄지지 않았고, 서로 교류를 통한 아이디어 발전이 파리보다 줄어듬에 따라 초현실주의의 역사는 서서히 저물었다.
초현실, 미술사조, 역사, 흐름, 예술사, 프랑스카페, 정치, 집단주의, 무의식, 꿈, 환상, 한국, Surrealism, art trend, history, flow, art history, French cafe, politics, collectivism, unconsciousness, dream, fantasy, Korea.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확증편향 - 믿고 싶은 것만 믿는, 스마트한생각들(걷는나무 웅진씽크빅) (0) | 2024.04.23 |
---|---|
초현실주의 작품 특징 기법 방법 성과 콜라주 프로타주 데칼코마니 (0) | 2023.02.14 |
점프컷(패스트컷) 설명 특징 원리, 예를들면 장뤽고다르 편집규칙 (0) | 2023.01.26 |
페티시즘 뜻 의미, 영화 fetishism 남성 여성 (0) | 2023.01.26 |
영화와 훔쳐보기의 관계, 관음증 (0) | 2023.01.25 |